'부가의문문(tag questions)'이란, 우리말에서 "그치?," "그렇지 않니?" 정도를 의미하는 말로, 평서문의 끝에 짤막하게 붙어있는 의문문을 부르는 이름이다. 다음의 예문처럼 말이다.
You are a Korean, aren't you? 너는 한국인이다, 그렇지 않니?
이 부가의문문은 실제 영어권 사람들이 우리가 생각하는 훨씬 이상으로 많이 사용하므로, 영어를 네이티브 수준으로 구사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마스터해야 하는 문장형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
부가의문문의 구성
**************
부가의문문을 올바르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1. 앞선 문장에서 사용된 동사의 종류
2. 앞선 문장의 시제가 무엇인 지
3. 앞선 문장이 긍정문인지 부정문인 지
-----------------------------------
1. 동사의 종류에 따른 부가의문문의 구성
-----------------------------------
A. 앞선 문장에 'do'동사나 일반동사가 사용된 경우, 부가의문문에는 'do 동사'를 사용
You love me, don't you? 너 나 사랑하지, 그렇지 않니?
He doesn't like her, does he? 그는 그녀를 좋아하지 않아, 그렇지 않니?
She left you last night, didn't she? 그녀는 어젯밤에 너를 떠났다, 그렇지 않니?
B. 앞선 문장에 be동사나 조동사가 사용된 경우, 사용된 동사를 그대로 사용
He is a Korean, isn't he? 그는 한국인이야, 그치?
There are many people, aren't there? 거기에는 사람이 많다, 그렇지 않니?
I could do it, couldn't I? 내가 그것을 할 수 있었다. 그렇지 않니?
She will go back home, won't she? 그녀는 집에 돌아갈 것이다, 그렇지 않니?
-----------------------------------
2. 동사의 시제에 따른 부가의문문의 구성
-----------------------------------
앞선 예문들에서 이미 짐작할 수 있었겠지만, 부가의문문의 시제는 언제나 앞선 문장에서 사용된 동사의 시제와 일치시켜주어야 한다.
You love me, don't you? (현재) 너 나 사랑하지, 그렇지 않니?
She left you last night, didn't she? (과거) 그녀는 어젯밤에 너를 떠났다, 그렇지 않니?
She will go back home, won't she? (미래) 그녀는 집에 돌아갈 것이다, 그렇지 않니?
---------------------------------
3. 긍/부정문에 따른 부가의문문의 구성
---------------------------------
역시 앞의 예문을 통해 충분히 짐작할 수 있었던 내용이다. 즉, 앞선 문장이 긍정문일 때는 부정으로, 부정문일 때는 긍정으로 부가의문문을 구성해 주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You love me, don't you? 너 나 사랑하지, 그렇지 않니?
You don't love me, do you? 넌 날 사랑하지 않아, 사랑하니?
She left you last night, didn't she? 그녀는 어젯밤에 너를 떠났다, 그렇지 않니?
She didn't leave you last night, did she? 그녀는 어젯밤에 너를 떠나지 않았어, 떠났니?
He will go back home, won't he? 그는 집에 돌아갈 것이다, 그렇지 않니?
He won't go back home, will he? 그는 집에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돌아갈까?
위에서 공부한 것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
부가의문문의 어순은 "동사 + 주어"며, 여기서 주어는 앞선 문장의 주어와 동일하다. 부가의문문은 앞선 문장과 시제를 일치시켜준다. 부가의문문은 앞선 문장과 동사의 종류를 일치시켜준다. 부가의문문은 앞선 문장과 항상 반대로 물어 본다. (긍정->부정, 부정->긍정) |
이렇듯 단순하고 명백한 부가의문문이 때때로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것은 바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서일 것이다.
A. 'no'나 'not'이 사용되진 않았지만 사실상 부정문인 경우 : 부가의문문은 긍정의 형태로
예문) You hardly understood what I said. 너는 내 말을 거의 이해하지 못했다.
--> You hardly understood what I said, didn't you? (X) --> 주의!
--> You hardly understood what I said, did you? (O) --> 긍정의문문으로!
He seldom makes any mistake. 그는 좀처럼 실수를 하지 않는다.
--> He seldom makes any mistake, doesn't he? (X)
--> He seldom makes any mistake, does he? (O)
She would scarcely believe it. 그녀는 그것을 좀처럼 믿지 않을 것이다.
--> She would scarcely believe it, wouldn't she? (X)
--> She would scarcely believe it, would she? (O)
B. 앞선 문장에 현재진행형이나 완료(진행)형이 사용된 경우 : be동사와 조동사만을 일치
예문) They are enjoying the party. (현재진행) 그들이 파티를 즐기고 있다.
--> They are enjoying the party, aren't they?
You have been abroad. (현재완료) 너는 외국에 나가보았다.
--> You have been abroad, haven't you?
He has been doing the project. (현재완료진행) 그는 그 프로젝트를 해오고 있다.
--> He has been doing the project, hasn't he?
C. 생략형 『 's 』 나 『 'd 』가 사용된 경우 : 생략 이전의 (원래) 단어로 부가의문문 구성
예문) He's doing his best.
= He is doing his best. 그는 최선을 다하고 있다.
--> He is doing his best, isn't he?
He's done his best.
= He has done his best. 그는 최선을 다했다.
--> He has done his best, hasn't he?
You'd better do your best.
= You had better do your best. 너는 최선을 다하는 편이 좋다.
--> You had better do your best, hadn't you?
You'd do your best.
= You would do your best. 너는 최선을 다할 것이다.
= You would do your best, wouldn't you?
D. 앞선 문장의 주어로 '명사'나 긴 '대명사'가 쓰인 경우 : 이에 상응하는 간략한 대명사로 전환
예문) Tom didn't go to school. Tom은 학교에 가지 않았다.
--> Tom didn't go to school, did he? (Tom -> He)
Ellie visited her sister's house. Ellie는 그녀의 누이 집에 방문했다.
--> Ellie visited her sister's house, didn't she? (Ellie -> She)
This concert is really boring. 이 콘서트는 정말 지루하다.
--> This concert is really boring, isn't it? (this -> it)
That is not true.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 That is not true, is it? (that -> it)
These are your stuff. 이것들은 네 물건이다.
--> These are your stuff, aren't they? (these -> they)
People want to be rich. 사람들은 부유해지기를 원한다.
--> People want to be rich, aren't they? (people -> they)
E. that, if, because 등으로 연결된 복문의 경우 : 주절의 주어와 동사를 참조
예문) We cannot go on a picnic because it is raining. 비가 오기 때문에 우리는 소풍을 갈 수 없다.
--------- 주절 ---------- / ----- 종속절 ------
--> We cannot go on a picnic because it is raining, isn't it? (X) --> 주의!
--> We cannot go on a picnic because it is raining, can we? (O)
I got upset because she was rude. 그녀가 무례했기에 나는 기분이 나빴다.
--- 주절 --- / ------ 종속절 -------
--> I got upset because she was rude, wasn't she? (X) --> 주의!
--> I got upset because she was rude, didn't I? (O)
F. 'and'나 'or' 같은 등위접속사로 연결된 중문의 경우 : 중문의 마지막 절을 참조
예문) He is a Korean, and he likes a boxing. 그는 한국인이고, 권투를 좋아한다.
--> He is a Korean, and he likes a boxing, isn't he? (X) --> 주의!
--> He is a Korean, and he likes a boxing, doesn't he? (O)
G. 명령문/제안문/권유문의 경우 : 앞선 문장의 주어나 동사, 긍/부정에 상관없이 오직 다음 규칙만을 따른다.
예문) Open the window! 창문을 열어라! (명령문)
--> Open the window, will you? (O) 명령문은 항상 'will you?' 로 받아준다.
Don't open the window! 창문을 열지마라! (부정명령문)
--> Don't open the window, will you? (O) 역시 'will you?'로 받아준다.
Let's go shopping. 쇼핑하러 가자. (제안문)
--> Let's go shopping, shall we? (O) 제안문은 항상 'shall we?'로
Have a cup of coffee. 커피 한 잔 해라. (권유문)
--> Have a cup of coffee, won't you? (O) 권유문은 항상 'won't you?'로
**********************
부가의문문 사용시 주의할 점
**********************
가. 위에서 필자는 that, if, because 등으로 연결된 복문의 경우 주절과 일치시켜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주절의 주어가 ' I ' 혹은 ' We ' 이고 동사가 think, guess, suppose, imagine 처럼
화자의 생각이나 사고를 의미할 경우 종속절에 일치시켜 주어야 한다. 단! 긍/부정은 주절을
참조하여야 한다. 다음의 예문은 보자.
예문) I think that you will make it. 나는 네가 그것을 해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주절 - / ---- 종속절 ------
--> I think that you will make it, won't you? (종속절과 일치, 긍/부정이 주절을 참조하고 있다!)
I don't believe that you will make it. 나는 네가 그것을 해낼 수 없으리라 생각한다.
---- 주절 ---- / ----- 종속절 ------
--> I don't believe you will make it, will you? (종속절과 일치, 긍/부정이 주절을 참조하고 있다!)
위와 같은 것을 공식으로 암기한다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복문의 문장을 구성하고 이에 부가의문문을 붙이는 경우에는 그 말의 궁긍적인 의미를 먼저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즉, 앞선 예문에서 보았던 "I got upset because she was rude, didn't I?" 과 같은 문장은 "내가 화났다"는 사실은 그 이유와 함께 설명하고 있는 문장이다. 즉, "내가 화났다"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이다. 따라서 부가의문문은 "내가 그랬지?" 혹은 "내가 안 그랬나?" 정도의 말이 와주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바로 위의 예문에서 "I think that you will make it, won't you?" 같은 경우는 "네가 해낼 수 있다"는 나의 생각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즉, "내가 할 수 있는 지, 없는 지"가 이 말의 핵심인 것이다. 그러다보니 당연히 부가 의문문도 그렇게 구성되는 것이다. 즉, 부가의문문이란 내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강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써, 내가 말하고자 하는 말의 궁긍적인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짚는 것일 뿐이다. 따라서 이것을 간파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것이 바로 열쇠라 할 수 있겠다.
나. 동사 'have,' 'need,' 'dare'처럼 일반동사로 사용되기도 하고 때로 조동사로 사용되기도 하는 것들은
당연히 그 의미를 먼저 생각해 보아야 한다. 그리고 나서 일반동사로 사용되었다면 'do' 동사로, 조동
사로 사용된 경우라면 그 자신을 이용하여 부가의문문을 구성해 주어야 한다.
예문) He has a wristwatch. 그는 손목시계를 가지고 있다. (일반동사)
--> He has a wristwatch, doesn't he?
He had lost his wristwatch. 그는 그의 손목시계를 잃어버렸다. (조동사)
--> He had lost his wristwatch, hadn't he?
She needs me. 그녀에게는 내가 필요하다. (일반동사)
--> She needs me, doesn't she?
She need not tell you that. 그녀는 네게 그 말을 할 필요가 없다. (조동사)
--> She need not tell you that, need she?
다. 다음과 같은 조동사들은 일반적인 규칙을 무시한 관습적인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have to (~해야만 한다) --> do 동사를 받는다.
I have to go back home early. 나는 집에 일찍 돌아가야만 한다.
--> I have to go back home early, haven't I? (X) --> 주의!
--> I have to go back home early, don't I? (O)
ought to (~하지 않으면 안된다) --> 조동사 should를 받는다.
I ought to go back home early. 나는 집에 일찍 돌아가지 않으면 안된다.
--> I ought to go back home early, oughtn't I? (X) --> 주의!
--> I ought to go back home early, shouldn't I? (O)
'외국어를 배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학습의 원칙에 대한 오해 (2): 언어는 습관이다? (0) | 2007.09.06 |
---|---|
영어학습의 원칙에 대한 오해 (1): 문법구문은 쉬운 것부터 어려운 것 순으 (0) | 2007.09.06 |
20강] 의문문 - 간접의문문 (0) | 2007.09.06 |
[19강] 의문문 (0) | 2007.09.06 |
[18강] 소유격 (0) | 2007.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