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난 이슈 부채질

타임지, 위험지역 개척과 사역은 돈,명예,홍보위한 한국 기독교인들의 참극

이경희330 2007. 8. 3. 09:36

http://blog.naver.com/always1925/10020341552

무모한 선교(?)활동, 무모한 봉사(?)활동
이에 대해 한인들은 한마디로 “무모했다”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사태가 처음 보도된 시점에는 “하루빨리 모두 안전하게 귀가했으면 했다”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왜 굳이 거기까지 가야 했냐”고 말해 원망 아닌 원망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한인 김정균씨는 “아직도 모두 살아 돌아와야 한다는 입장은 모두 다 매한가지 일 것”이라면서도 “그렇지만 이렇게 될 정도도 예측 못하고 굳이 거길 왜 갔냐”는 원망 석인 목소리가 내었다.
현재 한인타운에서는 금번 사태에 대해 삼삼오오 모여 이렇게들 해석하고 있다.
첫째 체계적으로 교육을 받지 않은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20여명이나 무정부상태나 다름없는 아프가니스탄을 방문한 것에 대해 안일했다는 것이다. 전문 교육을 받았어도 꺼려질 수 밖에 없는 그곳에 봉사활동을 위해 갔다는 것 자체가 문제일 뿐만 아니라 이슬람 국가이어서 선교활동은 말도 안되기 때문이다.
이미 본국 정부도 민감한 선교활동에 대한 보도 자제를 요청할 정도와 위험국가로 뒤늦게 지정하겠다고 하는 것은 그들이 주장하는 선교활동이라는 것은 100% 무모한 행위라는 것이다.
둘째 선교를 위해 방문할 수 있는 수많은 국가들 중 왜 하필 아프가니스탄이냐는 부분이다. 선교자들의 순수한 목적과 열정을 배우기 위해 굳이 아프가니스탄을 선택할 정도로 방문할 주변 국가들이 없었냐는 제기다. 이는 절에 들어가 카톨릭 신부나 목사가 마치 아픈 승려를 치료하며 하나님을 부르짓는 격이라는 우스운 얘기까지 들리고 있다.
어찌 보면 이것이 틀린 얘기가 아닐 정도로 한인들 사이에서는 최근 술자리에서 몇몇만 보이면 바로 나오는 얘기들이다.

최악 국면···군사작전 조짐, 긴장감은 더욱 팽팽
한국인 석방 협상이 긴박하게 돌아가는 가운데 군사력 동원을 통한 인질 구출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교착상태에 빠진 협상이 자칫 한인 피랍자들의 생명을 담보로 대대적인 전투가 벌어질 수도 있다.
본국 정부는 ‘군사작전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아프간 측이 무력사용 가능성을 수시로 언급하며 탈레반 무장세력의 극단적 상황에 대비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프간 정부는 인질 석방 협상이 별 성과 없이 지리멸렬해지자 무력 사용 가능성을 수시로 언급하는 등 심상치 않게 움직이고 있다. 이를 입증이라도 하듯 8명의 인질 석방을 위해 출발했던 탈레반 무장세력들은 무장 군인들을 보고 다시 되돌아간 것으로 보도되기도 했었다.
특히 아프간 정부가 군병력과 경찰을 동원, 한국인이 억류된 가즈니주 카라바그 주변을 포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군사 동원’ 발언은 단순히 협상을 위한 ‘엄포’ 이상의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또한 미군마저 이에 가세하고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가 주도하는 국제안보지원군(ISAF)의 화력 지원을 받는다면 한국인 인질 구출작전에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아프간 정부는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경기의 커다란 한 축인 군수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미국도 또다시 세계평화와 테러와의 전쟁의 이름 하에 참여할 가능성이 매우 농후하기 때문이다.


한국인질 23명중 2명을 살해한 탈레반 무장세력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최대한 전면 대응을 자제해온 미국 정부가 31일(현지시각) 인질 추가 살해 행위를 강도 높게 비판하고 나서 향후   미국정부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미 국무부는 이날 한국 인질을 추가 살해한 탈레반 세력을 “사악한(vicious) 탈레반” 이라고 비난하면서 ‘어떠한 경우라도 테러리스트에게 양보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재천명했다.
만약 오는 5일로 예정된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과 하미드 카르자이 아프간 대통령간 정상회담에서도 이 같은 원칙이 공개적으로 확인될 경우 한국정부의 인질 협상 전략에도 큰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지며 사태 해결에  아무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는 한국 정부가 어떤 외교적 태도를 보일지에 대해서도 한국을 비롯한 서방국가의 관심과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또한 미 국무부의 이 같은 원칙표명은 앞서 “추가 희생자가 발생할 경우 좌시하지 않겠다”는 한국 정부의 입장 표명과 맞물려 미묘한 파장을 낳고 있으며, 일각에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