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신문의 눈] "임금도 정당히 지급" 주장, 장상환·정성진 교수 비판 | |||||||||||||||||||
올해는 한국경제의 역사에 대한 리얼리즘을 추구하는 한해가 될 것 같다. 교과서포럼이 펴낸 '경제교과서, 무엇이 문제인가'(두레시대 刊)를 보면 이러한 전망을 하게되는데, 지난해 교수신문 제355호, 356호, 357호 등 세차례에 걸쳐서 진행된 박정희 시대의 노동자 임금지급의 착취성 여부를 판단하는 논쟁에서 "답변은 다음 기회에"라며 대답을 미뤘던 이영훈 교수가 "장상환, 정성진 교수의 비판에 답한다"라는 제목의 본격 반론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이 교수는 박정희 시대의 한국경제는 매우 고평가되어야 하며, 노동자 임금도 그에 값하게 형성되어 있었다는 기존입장을 여러 증거를 제시하며 고수하고 있다.
그리고 1987년 제조업 주당 노동시간이 54시간으로 대만의 48시간보다 많다며 이것을 "저임금 착취설"의 근거로 드는 장 교수의 의견에 대해서는 "당시 대만은 한국보다 국민소득이 높았기" 때문에 이것은 "경제원론에 속하는 당연한 현상"이라며 맞받았다. 다음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장상환 교수는 지난번 글에서 양자의 관계가 "불공정한 도급거래를 통한 비대칭적 연계과 그 귀결인 격차 심화에 있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이는 "자본운동의 세계화" 및 "독점자본의 지배력 증대" 탓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그러나 이 교수는 이에 대해 회의적 의견을 내보였다. 우선 장 교수의 분석이 너무 추상적이라서 "자본운동의 세계화"라는 말이 구체적으로 잡히지 않는다는 것. 그 보다는 "대기업이 먼저 생겨나고 그와 기술 및 시장연관을 맺는 중소기업이 밑에서 족생한 하향식 공업화 유형에 기인한다"는 게 이 교수의 분석이다. 나아가 이 교수는 한국과 같은 정도의 대기업-중소기업 관계는 오히려 높이 평가되어야 하는, 다른 저개발국에선 볼 수 없는 현상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짧은 기간에 미숙하나마 그만한 기업연관이 생겨난 것은 한국사회에 내재한 풍부한 기업가 능력과 시장경제의 자생성 덕분이라는 것이다.
글을 마무리하면서 이영훈 교수는 "장 교수는 재벌과 부동산 소유자가 벌어들인 토지로부터의 볼로소득을 포함하면 한국의 소득분배가 국제적으로 열악한 상태라고 보는 것 같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 교수는 "만약 토지, 주택, 주식, 채권 등을 모두 국제적으로 비교해도 한국이 소득분배의 열등생이라고는 단언할 수 없다"라며 개발연대의 한국경제의 소득분배구조를 비교적 합리적이라고 결론내렸다. 한편 '정성진 교수의 주장에 대해'라는 장에서는 정성진 교수가 1970~90년간 실질임금의 증가율이 평균노동생산성 증가율에 못미치는 증거로 제시한 수치를 반박했다. 이 교수는 이런 정의에 찬성할 수가 없다는 것인데, "실질국민소득을 노동시간으로 나눈 것을 평균노동생산성으로 볼 수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거기엔 노동만 들어있고, 자본이 생산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려가 빠져있다는 것. 이 교수는 "정 교수는 자신이 신봉하는 마르크스 경제학의 기본 명제를 방정식이라 할 수도 없는, 좌우를 동일 변수로 팩토링한 항등식에 불과한 수식을 통해 되풀이하고 있을 뿐"으로 취급했다. 이에 대해 장상환, 정성진 교수는 어떤 반응을 보일까. 우선 짚어져야 할 것은 어떤 경제학적 주장을 펼칠 보편적인 근거를 산출하는 조건에 대한 것인 듯하다. 그 다음은 생산성에 미치는 자본의 영향의 문제로 보인다. * 본문은 대자보와 기사제휴 협약을 맺은 <교수신문>(www.kyosu.net)에서 제공한 것이며, 본문의 제목은 원제와 조금 다르게 편집했음을 알려드립니다.
| |||||||||||||||||||
'박정희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정희가 죽인 대한민국 해운 물류 산업 (0) | 2008.06.21 |
---|---|
“박정희 개발독재, 美化마라” (0) | 2008.06.21 |
"박정희 시대 저임금과 저곡가는 사실" (0) | 2008.06.21 |
박정희와 박정희 신자들의 껍딱 벗겨내기 (0) | 2008.06.21 |
박정희가 국가경제의 영웅? (0) | 2008.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