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적자원부와 과학기술부가 합쳐진 교육과학기술부(교과부)가 행정고시 기수를 뛰어넘는 파격적인 인사로 ‘인사 태풍’에 휩싸였다. 또, 기존 과기부 출신 실·국장과 과장을 교육 담당 1차관 밑으로 발령해 조직 융합을 시도하는 등 ‘인사 실험’이 계속되고 있다.
◆기수·서열 파괴, 잇따른 ‘파격 인사’= 지난 7일 과장급에서 시작해 14일 실장을 끝으로 마무리된 교과부 본부 인사에서는 행정고시 기수로는 후배가 선배보다 윗자리에 승진 임명되는 등 파격이 잇따랐다. 우형식(행시 24회) 1차관이 국장에서 실장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차관으로 승진한 데 이어 지난 12 일 박춘란 경북대 사무국장이 국장급인 학술연구지원관에 승진 임명됐다.
박 국장은 행시 33회로, 종전 교육부에서 행시 22~28회가 국장급 직책을 맡고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5기 이상 뛰어넘은 파격 인사다. 박 국장은 만40세이던 지난 2005년 정부 최연소 여성 부이사관에 임명된 데 이어 지난해 8월에는 고위공무원단으로 승진하며 국립대 최초 여성 사무국장에 발탁돼 주목을 받았다.
행시 20~22회가 맡던 1급 실장 자리에도 25회인 이걸우 전 대학혁신추진단장을 승진 발령했다. 기초·학술연구와 대학 지원, 대학자율화추진단 등을 총괄하는 학술연구정책실장에 임명된 것. 이 실장은 부산대 사무국장을 지내다 지난해 8월 국장급인 대학혁신추진단장에 임명됐지만 정식 국장 보직이 아니었다는 점에서 발탁인사로 평가된다.
다른 교육 관련 실·국장 자리에도 국립대 사무국장들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장기원(23회) 부산대 사무국장이 1급인 기획조정실장으로, 김명훈(26회) 경상대 사무국장이 국장급인 정보화정책관으로 각각 승진했다.
장 실장일 비롯해 이종원 인재정책기획관(23회), 서명범 평생직업교육국장(22회), 황인철 교육복지지원국장(23회) 등 1차관 산하의 실·국장에 임명된 기존 교육부 출신 간부들은 모두 고시 기수로는 우 차관의 선배들이다. 학술연구지원관 소속 과장 자리에도 박 국장의 선배 기수들이 다수 배치됐다.
정식 직제는 아니지만 국장급인 대학자율화추진단장에는 이기봉 전 대학정책과장(행시 31회)이 임명됐다. 임시 TFT이긴 하지만 이명박 정부의 3개 교육개혁 과제 가운데 하나인 대학입시 이양과 규제 철폐 등 ‘대학 자율화’라는 중책을 맡게 돼 ‘승진 케이스’로 분류된다.
대학통인 이성희 감사관도 눈에 띄는 인사다. 경북 월성 출신인 이 감사관은 74년 9급 공채로 경북교육청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해 사립대지원과장, 감사총괄담당관 등을 지냈다. 지난해 11월 제주특별자치도 부교육감으로 내려갔다 4개월 만에 감사관으로 복귀했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파견나갔던 황홍규(27회) 전 공보관은 옛 대학지원국장격인 대학연구기관지원정책관으로 복귀했다.
그러나 ‘파격 인사’에 따른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교육부의 한 간부는 “승진한지 불과 몇 개월 만에 다시 승진하고, 일부는 참여정부에서 승승장구하다 새 정부에서도 중용되는 등 도대체 인사 기준이 뭔지 모르겠다”며 “조직 혁신 차원에서는 이해할 수 있지만 기존 시스템을 너무 무시하면 사기 저하 등 후유증이 생길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간부는 “엄청난 태풍이 불고 있다. 선배들은 일이나 열심히 하다 때 되면 나가라는 말인 것도 같아 허탈한 느낌도 든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김 장관은 지난 10일 과장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하면서 “실력을 존중하는 인사를 운영하겠다”며 “열심히 일하고 성과를 내는 분은 인센티브를 줄 것이고 그렇지 못한 분은 그 책임을 묻는 인사 정책을 펴 나가겠다고”고 밝혔다.
◆직제도, 사무실도, 사람도 ‘섞어, 섞어’= 합쳐진 두 부처를 물리적으로 융합하기 위한 노력은 직제 개편, 사무실 재배치에 이어 인사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교과부는 앞서 대학 관련 부서 대부분을 과학기술 담당 2차관 소속으로 배치하고, 기존 교육부와 과기부 소속 사무실을 같은 층에 다양하게 섞어놓았다.
지난 14일 마무리된 본부 인사에서도 ‘상호 교차’ 인사가 두드러졌다. 1차관 소속의 인재정책실장에 과기부 출신을 임명하는 대신 2차관 산하의 학술연구정책실장에는 교육부 출신을 배치했다.
국·과장들도 섞어놓았다. 인재육성지원관과 인재정책분석관, 정책기획관 등 1차관 소속의 국장급 3자리와 과장급 4자리가 과기부 출신에게 돌아갔다. 반대로 2차관 산하의 학술연구지원관과 대학연구기관지원정책관 등 국장급 2자리와 과장급 6자리에는 교육부 출신을 임명했다.
같은 국 안에 교육부와 과기부 출신 과장들이 뒤섞이면서 인재정책분석관(국장)은 과기부 출신인데 과장 4명 중 3명은 교육부 출신인 것과 모습이 곳곳에서 연출되고 있다. 옛 공보관실도 국장급인 대변인은 교육부 출신이, 과장급인 홍보담당관은 과기부 출신이 각각 맡았다.
이 같은 시도들은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두 조직을 효과적으로 융합하기 위해서는 우선 두 부처 직원들이 최대한 자주 마주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도연 장관은 지난 13일 업무개시를 알리는 행사에서 “60세(교육부) 노총각과 40세(과기부) 노처녀, 혹은 60세 노처녀와 40세 노총각이 결혼한 셈”이라며 “과거의 갈등은 있어서도 안 되고 상호이해와 존중에 기초한 실질적 통합과 융합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한국대학신문
◆기수·서열 파괴, 잇따른 ‘파격 인사’= 지난 7일 과장급에서 시작해 14일 실장을 끝으로 마무리된 교과부 본부 인사에서는 행정고시 기수로는 후배가 선배보다 윗자리에 승진 임명되는 등 파격이 잇따랐다. 우형식(행시 24회) 1차관이 국장에서 실장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차관으로 승진한 데 이어 지난 12 일 박춘란 경북대 사무국장이 국장급인 학술연구지원관에 승진 임명됐다.
박 국장은 행시 33회로, 종전 교육부에서 행시 22~28회가 국장급 직책을 맡고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5기 이상 뛰어넘은 파격 인사다. 박 국장은 만40세이던 지난 2005년 정부 최연소 여성 부이사관에 임명된 데 이어 지난해 8월에는 고위공무원단으로 승진하며 국립대 최초 여성 사무국장에 발탁돼 주목을 받았다.
행시 20~22회가 맡던 1급 실장 자리에도 25회인 이걸우 전 대학혁신추진단장을 승진 발령했다. 기초·학술연구와 대학 지원, 대학자율화추진단 등을 총괄하는 학술연구정책실장에 임명된 것. 이 실장은 부산대 사무국장을 지내다 지난해 8월 국장급인 대학혁신추진단장에 임명됐지만 정식 국장 보직이 아니었다는 점에서 발탁인사로 평가된다.
다른 교육 관련 실·국장 자리에도 국립대 사무국장들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장기원(23회) 부산대 사무국장이 1급인 기획조정실장으로, 김명훈(26회) 경상대 사무국장이 국장급인 정보화정책관으로 각각 승진했다.
장 실장일 비롯해 이종원 인재정책기획관(23회), 서명범 평생직업교육국장(22회), 황인철 교육복지지원국장(23회) 등 1차관 산하의 실·국장에 임명된 기존 교육부 출신 간부들은 모두 고시 기수로는 우 차관의 선배들이다. 학술연구지원관 소속 과장 자리에도 박 국장의 선배 기수들이 다수 배치됐다.
정식 직제는 아니지만 국장급인 대학자율화추진단장에는 이기봉 전 대학정책과장(행시 31회)이 임명됐다. 임시 TFT이긴 하지만 이명박 정부의 3개 교육개혁 과제 가운데 하나인 대학입시 이양과 규제 철폐 등 ‘대학 자율화’라는 중책을 맡게 돼 ‘승진 케이스’로 분류된다.
대학통인 이성희 감사관도 눈에 띄는 인사다. 경북 월성 출신인 이 감사관은 74년 9급 공채로 경북교육청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해 사립대지원과장, 감사총괄담당관 등을 지냈다. 지난해 11월 제주특별자치도 부교육감으로 내려갔다 4개월 만에 감사관으로 복귀했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파견나갔던 황홍규(27회) 전 공보관은 옛 대학지원국장격인 대학연구기관지원정책관으로 복귀했다.
그러나 ‘파격 인사’에 따른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교육부의 한 간부는 “승진한지 불과 몇 개월 만에 다시 승진하고, 일부는 참여정부에서 승승장구하다 새 정부에서도 중용되는 등 도대체 인사 기준이 뭔지 모르겠다”며 “조직 혁신 차원에서는 이해할 수 있지만 기존 시스템을 너무 무시하면 사기 저하 등 후유증이 생길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간부는 “엄청난 태풍이 불고 있다. 선배들은 일이나 열심히 하다 때 되면 나가라는 말인 것도 같아 허탈한 느낌도 든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김 장관은 지난 10일 과장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하면서 “실력을 존중하는 인사를 운영하겠다”며 “열심히 일하고 성과를 내는 분은 인센티브를 줄 것이고 그렇지 못한 분은 그 책임을 묻는 인사 정책을 펴 나가겠다고”고 밝혔다.
◆직제도, 사무실도, 사람도 ‘섞어, 섞어’= 합쳐진 두 부처를 물리적으로 융합하기 위한 노력은 직제 개편, 사무실 재배치에 이어 인사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교과부는 앞서 대학 관련 부서 대부분을 과학기술 담당 2차관 소속으로 배치하고, 기존 교육부와 과기부 소속 사무실을 같은 층에 다양하게 섞어놓았다.
지난 14일 마무리된 본부 인사에서도 ‘상호 교차’ 인사가 두드러졌다. 1차관 소속의 인재정책실장에 과기부 출신을 임명하는 대신 2차관 산하의 학술연구정책실장에는 교육부 출신을 배치했다.
국·과장들도 섞어놓았다. 인재육성지원관과 인재정책분석관, 정책기획관 등 1차관 소속의 국장급 3자리와 과장급 4자리가 과기부 출신에게 돌아갔다. 반대로 2차관 산하의 학술연구지원관과 대학연구기관지원정책관 등 국장급 2자리와 과장급 6자리에는 교육부 출신을 임명했다.
같은 국 안에 교육부와 과기부 출신 과장들이 뒤섞이면서 인재정책분석관(국장)은 과기부 출신인데 과장 4명 중 3명은 교육부 출신인 것과 모습이 곳곳에서 연출되고 있다. 옛 공보관실도 국장급인 대변인은 교육부 출신이, 과장급인 홍보담당관은 과기부 출신이 각각 맡았다.
이 같은 시도들은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두 조직을 효과적으로 융합하기 위해서는 우선 두 부처 직원들이 최대한 자주 마주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도연 장관은 지난 13일 업무개시를 알리는 행사에서 “60세(교육부) 노총각과 40세(과기부) 노처녀, 혹은 60세 노처녀와 40세 노총각이 결혼한 셈”이라며 “과거의 갈등은 있어서도 안 되고 상호이해와 존중에 기초한 실질적 통합과 융합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한국대학신문
'openjournal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텍 美 보스톤서 '교수 유치 설명회' (0) | 2008.03.18 |
---|---|
서울대 '마르크스 경제학 교수 채용' 또 미뤄 (0) | 2008.03.16 |
이성우 국민대 총장 "기업경영 시스템 도입" (0) | 2008.03.14 |
영문과 교수들, '영어 정책 문제점 지적' (0) | 2008.03.14 |
'대운하 반대' 서울대 교수 381명 성명 (0) | 2008.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