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삼경언해 [四書三經諺解] 유교 경전인 사서, 즉 《논어》 《대학》 《중용》 《맹자》와 삼경인 《시경》 《서경》 《주역》의 원문에 한글로 음과 토를 달고 다시 우리 말로 번역한 책. 본문 ↑ 대학언해 / 《논어언해》 4권 4책, 《대학언해》 1책, 《중용언해》 1책, 《맹자언해》 14권 7책, 《시경언해》 20권 10책, 《서경언해.. 자료실 2008.09.13
집현전 [集賢殿] 고려 이래 조선 초기에 걸쳐 궁중에 설치한 학문 연구기관. 본문 ↑ 경복궁 수정전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경복궁. 조선 고종. 세종 때 집현전으로 쓰이던 건물로서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고종 때 재건되었다. 1392년(조선 태조 1) 7월에 제정된 관계에 따르면 고려의 제도를 도습하여 보문각(.. 자료실 2008.09.13
훈민정음의 배경과 경과, 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와 목적? 〈훈민정음의 이론적 배경〉 훈민정음의 제자(制字) 및 그 결합의 철학적 배경은 성리학적(性理學的) 이론인 삼극지의(三極之義)와 이기지묘(二氣之妙)에 바탕을 두고 있다. 삼극은 천·지·인 삼재를 말하고, 이기(二氣)는 음(陰)·양(陽)을 말한다. 성리학적으로 이 삼재와 이기로 우주일체의 사상(.. 자료실 2008.09.13
훈민정음 [訓民正音] 조선 세종(世宗)이 1446년(세종 28) 9월에 제정·공포한 한국의 국자(國字), 또는 그것을 해설한 책의 이름. 본문 국자의 뜻으로는 줄여서 '정음(正音)'이라고도 하며, 속칭 '언문(諺文)'이라고도 하였다. 글자로서 훈민정음이 완성된 것은 1443년(세종 25)이며, 이것이 제정되자 그 창제 목적을 실천하기 위.. 자료실 2008.09.13
세종대왕은 누구인가? 조선 제4대 왕(재위 1418~1450). 젊은 학자들을 등용하여 이상적 유교정치를 구현하였으며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측우기 등의 과학 기구를 제작하게 했다. 6진을 개척하여 국토를 확장하고 쓰시마섬을 정벌하는 등 정치·경제·문화면에 훌륭한 치적을 쌓았다. 재위 1418년~1450년 왕비 소헌왕후(昭憲王后) .. 자료실 2008.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