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현전 [集賢殿] 고려 이래 조선 초기에 걸쳐 궁중에 설치한 학문 연구기관. 본문 ↑ 경복궁 수정전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경복궁. 조선 고종. 세종 때 집현전으로 쓰이던 건물로서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고종 때 재건되었다. 1392년(조선 태조 1) 7월에 제정된 관계에 따르면 고려의 제도를 도습하여 보문각(.. 자료실 2008.09.13
훈민정음의 배경과 경과, 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와 목적? 〈훈민정음의 이론적 배경〉 훈민정음의 제자(制字) 및 그 결합의 철학적 배경은 성리학적(性理學的) 이론인 삼극지의(三極之義)와 이기지묘(二氣之妙)에 바탕을 두고 있다. 삼극은 천·지·인 삼재를 말하고, 이기(二氣)는 음(陰)·양(陽)을 말한다. 성리학적으로 이 삼재와 이기로 우주일체의 사상(.. 자료실 2008.09.13
글자로서 훈민정음 훈민정음 체계는 당시 국어의 전면적 표기를 위하여 마련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고유 요소(要素)와 외래 요소까지를 고려에 넣은 체계였던 것이다. 국어에서의 외래 요소는 주로 한자어였으므로 이 한자음의 표기를 위하여 마련한 것이 《동국정운》이었다. 이 《동국정운》의 한자음 표기는 우리 음.. 자료실 2008.09.13
훈민정음 [訓民正音] 조선 세종(世宗)이 1446년(세종 28) 9월에 제정·공포한 한국의 국자(國字), 또는 그것을 해설한 책의 이름. 본문 국자의 뜻으로는 줄여서 '정음(正音)'이라고도 하며, 속칭 '언문(諺文)'이라고도 하였다. 글자로서 훈민정음이 완성된 것은 1443년(세종 25)이며, 이것이 제정되자 그 창제 목적을 실천하기 위.. 자료실 2008.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