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난 이슈 부채질

외교적 개가? 테러 세력과 타협? '이슬람 종주국' 사우디와 공조 성과

이경희330 2007. 8. 30. 09:45
 

'협상 불가' 원칙 깨 후유증 남을 듯

Photo

▶아프간 피랍자 가족 및 친척들이 28일 TV를 통해 정부가 탈레반측과 19명 피랍자 전원 석방에 합의했다는 소식을 듣고 기뻐하고 있다. 〈AP>


아프간 탈레반 세력이 한국인 인질 19명을 28일 석방하기로 했다.

한국 정부로선 낯선 이국 땅에서 발생한 집단 피랍 사태를 해결했다는 측면에서 외교적 성과를 얘기할 만하다.

정부는 탈레반이 수감자 맞교환을 요구하자 조중표 외교부 1차관을 현지에 급파했다. 이어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이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아프간 카불로 날아갔다.

정부는 탈레반이 요구하는 수감자 맞교환을 위해 미국 측과 물밑 교섭을 벌였다. 적신월사(이슬람 국가의 적십자사)를 통한 외교 채널도 가동했다.

마지막으로 송민순 외교부 장관이 대통령 친서를 갖고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를 순방하며 간접적인 설득 외교를 펼쳤다. 또 이슬람 대국인 인도네시아의 고위 관리 2명이 막판 협상에 참여해 탈레반에 설득과 압력을 가해 주도록 호소했다.

그런 과정을 통해 우리 외교는 시험대에 올랐다. 이슬람권과 중동 아프리카 중앙아시아는 우리 외교의 불모지대나 마찬가지였다.

이번 사태 전 아프간에는 겨우 외교관 3명이 나가있는 상태였다. 우리 정부가 제3세계와 이슬람권을 얼마나 경시해 왔는지 말해주는 단적인 사례다. 석방 교섭 과정에서 아프간에 나간 정부협상팀은 20여 명으로 늘어났다.

일각에선 인질 석방 협상을 둘러싸고 다양한 목소리가 나온다.

그중에는 한국 정부가 '테러세력과의 협상 불가'라는 국제 사회의 원칙을 너무 쉽게 포기했다는 지적이 있다.

"한국군 철수 카드를 너무 빨리 던졌다" "인질 구출 작전을 계획했으나 한국 정부의 반대 때문에 포기했다" "인질 1명에 10만 달러의 몸값을 지급했다"는 외신 보도 등이 그것이다.

독일인들이 인질로 잡힌 다음 아프간 주둔 독일군을 증파한 앙겔라 메르켈 총리의 결단과 비교하는 시각도 있다.

그래서 이번 인질 석방 후에도 고민해야 할 부분은 적지 않다. 특히 지구촌 각지에서 한국인 인질 사태가 재발할 경우 이를 어떻게 해결하느냐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해외 여행객이 연 1200만 명을 넘는 시대에 얼마든지 유사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아프간에서 인질 2명을 희생하고 21명을 구출했지만 테러와의 전쟁에서 우리 정부가 대원칙을 양보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