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경제의 침체 양상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악화되고 있다. 또 원유·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계속 치솟아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는 등 세계 경제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경제도 힘든 시기를 맞고 있다. 고유가 여파로 이미 경상수지가 악화되고 물가가 뛰고 있다. 게다가 수출과 투자마저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내외 경제예측기관들은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당초 5%대에서 4%대로 낮추기 시작했다. <편집자 주>
뚜렷해지는 미국경제 침체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사태 여파로 작년 4분기부터 흔들리던 미국 경제가 '일시적 둔화'가 아닌 '깊은 침체'에 빠져들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미국 공급자관리협회(ISM)가 최근 발표한 2월 제조업 경기지수는 전달의 50.7에서 48.3으로 하락, 이라크 전쟁이 발발했던 2003년 4월 이래 최저를 기록했다. ISM 지수가 50을 밑돌면 경기 위축을 의미한다. 글로벌 투자은행인 UBS는 세계 금융회사들의 서브프라임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관련 손실이 지금까지 드러난 것보다 3배나 많은 최소 6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 따라 미국경제가 금융위기 악화는 물론 주택가격 하락으로 중산층 소비가 얼어붙어 경기침체가 가속화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해지고 있다. 미국의 투자가 워런 버핏(Buffett)은 3일(현지시각) CNBC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경제가 이미 경기후퇴(recession)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미국경제의 침체는 달러 가치의 급락을 초래하고 있다. 미국 달러가치는 3일 뉴욕 외환시장에서 장중 한때 1 유로당 1.5275달러를 기록, 1999년 유로 등장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또한 국제 투자자들이 달러를 팔고 대신 안전자산인 석유 투자에 몰리면서 3일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WTI(서부텍사스유) 가격은 장중 사상 최고가격인 배럴당 103.95달러까지 치솟았다. 게다가 금과 옥수수, 쌀, 콩, 구리 등 상품 가격이 잇따라 뛰면서 전 세계에 인플레이션 악몽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국의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IHT)은 이날 "유가와 곡물 등 상승하는 물가가 미국뿐 아니라 아시아와 유럽의 경제에도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국경제 지표도 나빠져
4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설비투자는 반도체 장비투자 부진 등의 영향으로 전달에 비해 9.6% 줄어들었다. 4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이명박?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기업투자가 늘어날 것이라는 'MB효과'마저 미국발 한파에 주춤하는 양상이다. 향후 경기흐름을 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도 1월에 0.4% 떨어져 2006년 3월 이후 22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최근 2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소비 증가율은 1월에 2.5% 증가했지만 신차(新車) 출시와 설 성수기 효과 덕분이어서 상승세가 지속될지는 불투명한 상태다.
수출 전선엔 이미 비상등이 켜졌다. 경상수지는 올해 1월 원유 등 수입품 가격 급등으로 26억 달러를 내며 2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2월 무역수지도 8억 달러 정도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미국의 경기침체로 인해 대미(對美) 수출이 작년 2월에 비해 20% 가까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특히 주력 품목인 반도체·자동차 수출은 작년 2월에 비해 39~51% 급감했다. 이처럼 투자와 수출이 부진한 가운데 경제예측기관들이 올해 우리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를 잇달아 하향조정하고 있다. 지난 2일 삼성경제연구소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당초 5%에서 4.7%로 낮췄다. 글로벌 투자은행인 리먼브러더스는 4.6%에서 4.3%, 영국계 신용평가사인 피치는 4.9%에서 4.1%, UBS는 4.1%에서 3.6%로 각각 낮춰 잡았다. 삼성경제연구소 홍순영 상무는 "미국 경기침체 여파가 한국경제의 수출부진, 물가상승, 구매력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올해 우리 경제는 (유가, 환율 등) 대외 환경에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FRB는 위기를 진화하기 위해 투자은행에도 재할인 창구의 접근을 허용하는 등 초강력 긴급 유동성 공급 방안을 마련하기에 이르렀다. FRB의 투자은행 구제제도는 1929년 대공황 직후에 만들어졌지만 실제 적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월가에 정통한 전문가들은 첨단 파생상품으로 무장한 미국의 금융 시스템이 대공황 이후 최악의 위기를 맞았다면서 신용경색 문제가 단기간에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동건 유진자산운용 대표이사는 "미국 부동산 시장의 호황이 지속하는 시기에 주택저당증권(MBS)에 투자하면 안전하다는 믿음이 형성됐고 헤지펀드 등이 과도한 차입을 일으켜 이 상품에 투자했으며 여기에 금융기관들이 대출을 해줬다"고 전했다. 김 대표이사는 "이에 대한 정부 규제는 없었고 관련 파생상품이 다양해지고 거래액수가 커지면서 서브 프라임 모기지 부실로 인한 손실이 걷잡을 수 없이 커졌고 이 문제가 미국 금융시장에 전반적으로 확산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공포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유동성 위기가 불거진 글로벌 투자은행 베어스턴스는 17일 오전 JP모건체이스에 주당 2달러에 불과한 2억3620만달러라는 헐값에 매각됐다. 지난주 초만해도 주당 60달러에 거래됐다가 14일에는 30달러로 반토막난 뒤의 일이다. 불과 1주일 만에 60달러짜리 주식이 2달러짜리 '휴지조각'으로 변해 버린 셈이다. 베어스턴스 공포도 전 세계 금융시장을 짓눌렀다. 제2, 제3 베어스턴스가 어디에서 터져 나올지 모른다는 위기감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장은 혼돈의 도가니다. 유동성 확보를 위해 헤지펀드들이 앞다퉈 보유 자산 폭탄 세일(Fire Sale)에 나서고 있다. 헤지펀드들의 폭탄 세일은 투자은행들이 보유한 자산들의 시장가치를 추가 폭락시킨다. 투자은행들이 또다시 자금을 대줬던 헤지펀드들에 추가 마진콜을 요구하도록 하는 연쇄 반응이 터져나오고 있다. 예상치 않은 베어스턴스발 악재에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다급하게 재할인율 0.25%포인트 인하를 단행했다. 18일 금리 인하 결정을 앞둔 FRB가 주말에 재할인율을 인하한 것은 3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JP모건의 베어스턴스 인수와 FRB 재할인율 인하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금융시장에 위기감이 증폭되면서 달러화 가치는 날개 없는 추락을 거듭했다. 엔화 대비 달러값은 이날 도쿄 외환시장에서 장중 한때 달러당 95.76엔까지 폭락했다. 12년 만의 최저치다. 달러는 유로화에 대해서도 장중 1.5903달러를 기록하면서 1.6달러 붕괴를 눈 앞에 두고 있다. 18일 미국 기준금리 인하폭이 1%포인트에 해당하는 대폭적인 금리 인하 조치가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달러값 폭락의 주범이 됐다. |
달러 대비 원화값은 전일보다 31.90원 폭락한 1029.2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엔화 대비 원화값은 달러 대비 원화값 폭락에다 엔화 강세까지 겹치면서 무려 66.27원 폭락한 1061.58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달러 대비 원화값의 전일 대비 하락 폭은 1998년 8월 6일 67.00원 이후 9년7개월 만의 최대치다. 지난달 28일 이후 12거래일 동안 92.70원 급등하면서 2005년 12월 13일 이후 2년3개월 만에 1020원대로 상승했다. 엔화 대비 원화값 변동폭 역시 97년 12월 30일 155원 급락 이후 10여 년 만에 처음이다 시장 관계자는 "시장에서 달러 공급 주문이 자취를 감춘 상태에서 묻지마 달러 매수 주문이 외환시장을 폭락시켰다"며 "지금은 역외 투기세력의 움직임도 감지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묻지마 달러 매수 주문은 해외투자펀드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들에 의해 촉발됐다. 국내 외환시장 참가자들의 자중지란에 의해 외환시장이 붕괴되고 다시 증시와 채권시장이 재차 폭락하는 악순환에 빠진 셈이다. 장중 한때 1537포인트까지 하락했던 코스피는 외국인들의 순매도가 쏟아지며 전일보다 25.82포인트(1.61%) 하락한 1574.44에 거래를 마감했다. 코스닥시장에서도 전날보다 17.03포인트(2.76%) 떨어진 600.08에 장을 마쳤다. 외국인들은 이날 코스피시장에서만 6300억원 이상을 순매도하며 규모에서 지난 1월 22일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항셍지수와 싱가포르 지수는 각각 4.25%, 1.42%가량 하락한 상태다. 달러 급락 소식에 원유와 금값도 또다시 사상 최고치 행진을 벌였다. 유가는 이날 뉴욕상품거래소 시간외거래에서 배럴당 111.42달러를 기록하며 83년 원유 선물 거래 도입 이후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금값 역시 온스당 1033.90달러를 기록하며 최고치를 기록했다. 후카야 고지 도이체방크 도쿄 법인 수석 통화 스트래티지스트는 "달러가 신뢰 위기에 직면했다"며 "시장 전체가 악순환 구도에 진입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