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일보가 13일 신정아(여·35) 전 동국대 교수의 누드 사진을 보도한 것을 놓고 네티즌들간의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공익을 위한 어쩔 수 없는 보도였다"는 주장과 "선정성이 지나쳤고, 사생활 침해"라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
-
게다가 이 사진이 한 사진 작가의 합성 사진이라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어, 문화일보의 보도가 너무 성급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
문화일보는 이날 "문화계 유력인사의 집에서 신정아씨 누드 사진이 여러 장 발견됐다"며 1면에 기사를 싣고, 3면에는 앞과 뒤에서 찍은 것으로 보이는 신정아씨 컬러 누드사진 2장을 일부 모자이크 처리해 보도했다. 문화일보는 사진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이 사진은 합성사진이 아니다. 사적인 분위기에서 일반카메라를 사용해 자연스럽게 촬영한 구도와 신씨의 표정이 작품용 누드사진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
문화일보가 이같이 보도하자, 이날 오후 문화일보 홈페이지는 다운 됐으며, 각종 포털사이트에서도 '문화일보'가 실시간 인기검색어 1위에 오르기도 했다.
-
하지만 이 사진이 문화일보에 보도된 이후, 각 언론사에는 해당 사진이 합성 사진일 가능성이 있다는 제보가 들어오고 있다. 익명의 제보자는 "한 전문 사진 작가가 합성 사진 시범을 보이면서 만든 사진"이라고 말했다. 현재 문화일보는 해당 사진의 원본을 공개하지 않고 있어, 해당 사진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힘든 상태이다.
-
현재 네티즌들은 문화일보의 '신정아 누드사진 게재'를 놓고 찬반 양론으로 갈렸다.
조선닷컴(chosun.com)에서 아이디 'ytnhyuky' 네티즌은 "나름대로 언론도 공개여부로 고민이 많았을 것"이라며 "명예훼손이 예상됨에도 공개한 것은 그만큼 알 권리도 중요하다고 판단하지 않았을까"라고 밝혔다.
-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아이디 'vimmm'은 "신정아 사건은 이미 개인의 인권 차원을 넘어서는 일"이라며 해당 사건의 당사자를 빨리 밝혀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아이디 'juwonbok'도 "누드사진까지 나온 것을 보니 거기서 출발해야 문제가 풀린다. 현금흐름과 치정관계를 뒤집어 보는 것이 사건사고를 조사하는 것에 기본"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이와는 반대로 누드사진까지 공개하는 것은 핵심을 벗어났으며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한 것이라는 의견도 많았다.
-
chosun.com에서 아이디 'leedi257' 네티즌은 "신정아를 두둔하고 싶은 마음은 없지만 이건 도가 지나치다고 생각한다"며 "마치 쓰러진 여자에 달려들어 머리카락 자르고 옷벗기고 질질 끌고다니는 것과 뭐가 다르냐"고 꼬집었다.
-
아이디 'pjangsoo'는 "죄가 있으면 의법조치하면 되는데 언론재판 그만하고 사생활을 파헤치지 말라"고 밝혔다.
-
이와 관련, 이용식 문화일보 편집국장은 미디어오늘과 인터뷰에서 "누드사진을 싣기까지 많은 고민을 했고 논란도 충분히 예상했다"며 "이 누드 사진이 신씨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로비를 한 것을 보여주는 증거가 된다고 봤다"고 밝혔다.
-
이 국장은 "앞으로 신씨 사건에서 더 많은 것이 드러날 것"이라며 "누드 사진 입수경로 등은 지금으로서는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
청와대 천호선 대변인은 문화일보의 '신정아 누드사진'보도에 대해 "써야 할 기사, 쓰지 않아야 할 기사, 쓰지 말아야 할 사진이 있다"며 "왜 (누드사진 게재가) 진실을 밝히기 위해 꼭 필요한지 모르겠지만 정말 저질스럽고 아이들 보기 부끄러운 기사들이 나오고 있다"고 비판했다.
'openjournal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표 "신정아 사건 몸통은 노대통령"…청 "대꾸할 가치 없는 악의적 상상 (0) | 2007.09.13 |
---|---|
"문화계 인사 집서 누드사진 발견"… 합성 가능성도 (0) | 2007.09.13 |
現판사 "간통? 법이 이불속까지 파고드냐" (0) | 2007.09.13 |
신정아 후원 포스코·대우건설·산업은행·하나은행 검찰 조사 (0) | 2007.09.13 |
'제 발등 찍은' 변양균, 자신이 지원한 과학수사팀에 덜미 (0) | 2007.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