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중 77% 집행 예정

교육과학기술부는 15일 미래핵심원천기술개발과 첨단 융·복합기술개발, 연구장비 인프라 구축사업 등에 대한 지원방향과 투자계획을 담은 ‘2009년도 원천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을 확정·발표했다.
올해 원천기술개발사업은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미래기반기술개발사업 등 6개 사업과 연구기획 및 성과관리에 총 3012억원이 지원되며 BT·NT·ET 등 미래 유망분야와 녹색성장을 견인할 융·복합형 녹색기술 개발 등에 중점 투자된다.
기술 분야별 투자 규모는 생명공학기술(바이오)이 1288억3000만원(44%)으로 가장 크고, 융합기술 740억원(25%), 나노기술 491억원(17%), 에너지·환경 420억원(14%) 순이다. 이 중 융·복합 분야는 ‘신기술 융합형 성장동력 연구’가 새로 추진되는 등 지난해 282억원에 비해 지원규모가 458억원 증가했다. 나노 분야와 바이오 분야도 각각 69억원과 67억4000만원이 늘었으나 에너지·환경 분야는 11억원 감소했다.
‘신기술 융합형 성장동력 연구’는 우리나라의 강점분야인 NT, BT, IT 등 첨단기술 분야의 융합기술 개발을 위해 10개 내외의 연구사업단을 선정, 총 43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미래 신성장 동력의 확보와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큰 솔라셀 원천소재개발과 에코 청정기술개발 등을 추진할 계획이며 상반기에 사업공고 및 설명회를 하고 지원과제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작년 사업을 시작한 신약 후보물질 개발사업은 올해 2개 질환이 새로 지원되며 기초의학자, 임상의사, 제약기업 등 수요자 의견을 적극 수렴할 계획이다. 또한 삶의 질 향상과 인간능력 개발을 위한 핵심 분야인 뇌 연구를 위해 한국뇌연구원 설계비(18억원)도 반영돼 뇌연구원 설립을 위한 설계와 입지, 유치기관을 선정할 계획이다.
이밖에 기초원천기술 분야의 연구개발프로그램으로 ‘글로벌 프론티어(Global Frontier)’사업이 새로 추진된다. 이는 녹색성장 관련 기초연구를 수행할 연구거점을 구축, 세계 최고 수준의 원천기술 확보 및 인력양성을 추진하는 사업으로 올해 기획을 통해 내년부터 본격 추진된다.
한편, 교과부는 올 원천기술개발사업 예산 중 77%인 2325억원을 상반기에 조기 집행해 경제난국 극복과 고용창출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교육과학기술부 홈페이지와 한국과학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openjournal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대 특허관리 '구멍''광우병 내성소' 뒤늦게 심사청구...특허 전문가 없어 관리 체계 재정비 시급 (0) | 2009.01.22 |
---|---|
로스쿨 기숙사비 고려대 220만원 ‘최고비싸’ (0) | 2009.01.16 |
"2011학년도 대입 3불 유지"대교협 정기총회, 오는 6월 말 2011학년도 대입전형 발표 (0) | 2009.01.16 |
김종량 한양대 총장 연임 확정적 (0) | 2009.01.16 |
서울대 정시논술, "교과서 지문 최대 활용" (0) | 2009.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