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세종시와 과학벨트 세종시와 과학벨트 세종시와 관련된 과학벨트 논란에 충청권이 또 다시 달아오르고 있다. 지난해 이맘때 수정안과 원안을 놓고 공방을 벌이던 정치권에서는 이번에는 과학벨트라는 화두를 놓고 정치권에서 지역의 이해관계에 따라 지난해와는 다른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충청도에 입지를 굳히.. openjournal사회 2011.02.21
레임덕 시작되자 눈치빠른 조선일보 이명박정부에게 등을 돌렸다.. 솔직히 말해서 이명박 정권을 탄생시킨 것은 오로지 경제를 살리겠다는 약속 뿐이었다. 그러나 그는 아니었다. 이명박 정권은 국민 무서운 줄 몰랐다. 광화문 광장을 촛불로 밝힌 미국 쇠고기수입 반대 시위가 벌어졌을 때 국민들은 불길한 징조를 봤다. 명박산성으로 불길을 잡았다고 생각했을지 모.. openjournal아가리 2010.07.09
정운찬 총리님 지금은 물러남으로 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위로할 수 있답니다 한국의 경제학자들은 어떤 의미로든 조순 선생님의 책을 읽으면서 경제학 공부를 시작했고, 그래서 모두가 조순의 제자인 셈입니다. 그리고 그 조순 선생님의 직계 제자인 정운찬 총리님에 대해서 어떤 식으로든 각별한 마음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직접 뵌 적은 그렇게 많지 않지만, 어쨌든 저와 .. openjournal아가리 2010.06.03
6.2 지방선거 모든 여론조사에서 굳게 다물었던 침묵은 분노였다 모든 여론조사에서 굳게 다물었던 입들이 2일에야 비로소 ‘심판’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이런 외침은 천안함 사건이 4대강, 세종시, 무상급식 등 모든 선거 쟁점들을 두 동강 내버린 상황에서 나왔다. 또 신문·방송들이 모두 한나라당 대세론을 얘기해, 민주당 등 야권 지지자들이 패.. openjournal정치 2010.06.03
북풍 VS 노풍 6.2 지방선거 판세분석 ‘6·2지방선거’가 20일 앞으로 다가왔다. 여야가 광역단체장 후보를 확정하면서 선거열기가 점차 달아오르고 있다. 이번 선거는 ‘천안함 침몰’ ‘황장엽 암살 공작조 검거’ 등 안보 이슈와 ‘스폰서 검사’ 논란,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주기, 한명숙 전 총리에 대한 법원의 무죄판결, 세종시·4.. openjournal정치 2010.05.18
돈의 싸움 스포츠맨의 싸움(경쟁)은 오래 걸리지 않아 승패가 나뉜다. 승패가 나뉘면 더는 싸울 일은 없다. 결과가 명확하고 대부분 결과에 승복하고 말 뿐이다. 아이들의 주먹다짐이야 며칠 지나면 지나간 일 일 뿐이다. 정치도 상당수의 싸움은 금방 끝난다. 원하는 결과가 만들어지거나 그렇게 만들기 위해서.. openjournal아가리 2010.03.26
불교장악과 반대세력 좌파로모는 안상수등 정체 요즘 큰사건이 5가지있었다 첫째는 우리땅 독도를 일본수상에게 조금기다리다 일본땅으로 올리란 이명박 대통령의 발언을 일본신문 2곳 기사가있는데도청와대는 반성없이 아니라고 무조건 우기는데 외국같으면 당장 탄핵에 감옥행인데 담당재판부를 장악한건지... 두번째 요즘 재물에 욕심을 부리.. openjournal아가리 2010.03.26
세종시 수정안 강행의 진짜 속내는 박근혜 전 대표 죽이기 위해 세종시 수정안 강행의 진짜 속내는 박근혜 전 대표를 사실상 대권 후보에서 낙마시키기 위한 수순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세종시 논란이 불거지면서 보수 기독교계와 보수신문, 보수 시민단체가 총동원돼 박 전 대표를 공격했으며, 이와 함께 정치권에서 친이-친박 간 무한 갈등을 부각시.. openjournal정치 2010.03.23
세종시 여론조작? 'XX 전문기관인 X이널 리서치입니다. 지난 1월 12일 정부는 행정중심 도시 건설이라는 원래의 기획을 10년 앞당겨 2020년까지 교육과학 중심 경제도시로 건설하는 세종시 발전 방안에 대한 수정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선생님의 의견을 듣고자 하오니 잠시만 시간을 내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불난 이슈 부채질 2010.02.16
지도자의 언행과 품격 설 연휴! 한국에 강도가 횡행하는 바람에 민심이 매우 어수선했다고 한다. 옛날 같으면 인적이 뜸한 시골의 새마을 금고나 농업협동조합 같은 곳에서나 강도 이야기가 들려 왔었는데 요즘은 도심 번화가, 거기다가 카메라가 24시간 감시하는 은행에도 예사로 강도가 드나든다. 그런데 이번의 강도는 .. openjournal아가리 2010.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