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도시 내 대학배치 방안을 둘러싼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논란의 핵심은 인천시가 연세대에 특혜를 줬는지의 여부다. 상대적으로 인천대·인하대 등 지역 대학에게는 혜택이 적게 돌아가 불똥이 연세대에까지 튀고 있는 형국이다.
◆끊이지 않는 “연세대 특혜” 논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지난달 정부의 의결을 거쳐 송도 5, 7공구에 142만 4,494㎡의 연세대 송도캠퍼스 건립을 확정한 후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공영개발에 나섰다. 당초 연세대가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방식으로 상업지구를 개발, 캠퍼스 조성비용을 자체 조달하려 했으나 “대학이 땅장사한다”는 여론이 들끓어 개발 주체가 인천시로 이관된 것이다.
인천지역 시민단체와 인천대, 인하대 총동창회·학생회가 문제삼는 대목은 사실상 연세대의 캠퍼스 조성 및 운영비를 인천시가 떠맡았다는 것. 6일 인천대와 인하대의 총동창회·학생회는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인천시가 연세대에 넓은 부지를 제공한 뒤 무상으로 건물을 지어주고, 캠퍼스 운영비용까지 지원하는 것은 명백한 특혜며 편파 행정”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연세대는 이러한 주장이 잘못된 정보에서 비롯됐다고 해명했다. 연세대 이연호 송도캠퍼스 건설기획팀장은 “건물 건립 등 캠퍼스 조성비는 인천시와 연세대가 함께 부담한다. 다만 인천시가 제공하는 공영개발 이익이 조성비용 중 몇 %를 차지할지 상세한 비율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운영비 지원 의혹에 대해서는 “연세대 캠퍼스 내부(Joint University Campus)에 입지하는 별도의 외국 연구기관, R&D 센터 등의 초기 운영비를 인천시가 부담하는 것”이라며 “캠퍼스 운영비를 지원하는 게 아니란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 캠퍼스 운영비용은 발전기금 모금 등을 통해 조달하려고 노력하는 중이다”라고 설명했다.
◆인천대·인하대 대학부지 확장될까
인천지역 제 단체들의 요구를 요약하면, 인천대 44만 7천여㎡, 인하대 21만여㎡ 배정이 계획된 대학부지를 형평성에 맞춰 늘려달라는 것이다. 지역 대학이라는 명분과 연세대에 대한 특혜 논란을 쌍끌이로 해 대학부지를 확장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이에 대해 “송도 입지를 둘러싼 대학간 과열경쟁이 염려된다. 한정된 대학부지를 늘릴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인천대·인하대는 “아직 확정되지도 않은 외국기업 유치 목적의 부지가 있지 않느냐. 이 땅을 대학부지로 돌려 ‘확실한 수요’인 지역대학에게 배분하는 것이 옳다”고 반박하고 있다.
결국 공은 인천시와 경제자유구역청으로 넘어왔다. 위험을 무릅쓰고 최초로 송도 입지를 확정한 연세대가 후발 대학들보다 좋은 조건의 MOU를 체결한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지만, 인천지역 단체들이 주장하는 ‘지역 대학’ 명분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역시 관건은 대학부지 확장 여부이다. 지역 여론의 비난을 받으면서도 인천시·경제자유구역청의 장고가 계속되는 것은 기업 유치가 대학부지 활용보다 높은 ‘땅값’을 받을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역 대학들의 요구를 어떤 방식으로, 어느 선에서 받아들여야 특혜 논란을 잠재우는 ‘운영의 묘’가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기태·김봉구 기자>
'openjournal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檢, '美 비인증대 박사' 교수 10여명 이번주 소환 (0) | 2007.09.10 |
---|---|
서울대, 지주회사 `SNU 홀딩스' 만든다 (0) | 2007.09.07 |
'사면초가' 장윤스님 동국대 이사 자진 사퇴 (0) | 2007.09.07 |
'로스쿨에 대한 모든 것'..법령해설집 출간 (0) | 2007.09.07 |
네티즌들이 동호공고 지켰다 (0) | 2007.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