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journal경제

세계 3대 경제축 동반침체 상품시장·이머징마켓 투자자금 대거 유출사태

이경희330 2008. 8. 27. 00:23

미국에 이어 유럽ㆍ일본 등 세계 3대 경제축이 지난 2ㆍ4분기 경기침체에 진입하자 글로벌 자금시장에 대역류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외환딜러들이 미국 달러화에 대한 매도(쇼트포지션)를 청산하고 매수(롱포지션)로 전환하면서 달러는 5주째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상품시장에서는 유전지역인 그루지야에서 전쟁이 일어났음에도 국제유가가 배럴당 111달러대로 하락해 상품시장의 황금시대가 끝났다는 의견도 나온다.
하지만 세계경제의 위기감은 달러자산이 새로운 위험 회피처로 여겨지면서 중국은 물론 파키스탄ㆍ베트남 등 이머징마켓(급성장시장)에서 대량의 핫머니 유출사태가 빚어지며 증폭되고 있다.
 

최근 국제적 자금 역류 배경은 세계 경제의 동반침체다. 지난해 말 이후 미국이 경기침체에 빠졌을 때 달러자산에서 많은 자금이 빠져나와 상품시장과 이머징마켓으로 흘러들었으나 최근 들어 미국 경제가 다른 경제권보다 낫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다른 곳에 투자된 자금이 달러자산으로 몰리는 ‘본국송금(repatriation)’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 15일 뉴욕외환시장에서 달러화 가치는 1유로 당 1.4687에 마감해 6개월 만에 1.47달러선이 깨졌다. 달러는 유로에 대해 한 달 만에 8% 절상됐다. 영국 파운드화에 대해 달러는 11일째 강세 행진을 벌였고 이는 37년 만의 일이다.
일본 엔화는 1달러 당 110.53엔으로 5개월 만에 13% 이상 하락했다. 중국 위안화는 방향을 틀어 4주째 절하를 이어갔다.
달러강세는 국제상품 가격을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끌어내리면서 인플레이션 확산 우려를 한풀 꺾었다. 국제 금 가격은 15일 올 들어 처음으로 800달러 아래로 내려앉아 온스(32g)당 774.90달러에 마감했다.

금, 유가는 하락·달러 초강세

현재 금 가격은 3월 최고점 대비 25% 가까이 하락했으며, 국제유가는 지난 6주간 22% 급락했다. 상품가격표준지수인 로이터제프리스CRB지수는 고점 대비 20% 넘게 내렸다. 유니크레디트의 마르코 애넌지아타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상품가격 랠리가 줄을 잇던 황금기는 막을 내렸다”고 진단했다.
달러강세는 대미 교역국의 수입 비용을 상승시켜 미 수출을 둔화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경제에 타격을 줄 복병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달러화 강세는 국제유가 하락을 가져와 인플레이션 압력을 줄이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 장기적으로 미국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원유 곡물 등 상품에 적극적으로 투자했던 해지펀드에 타격을 줘 금융시장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17일 “최근 달러 강세는 미국 경제의 체질이 강화된 결과가 아니라 유럽연합(EU) 일본 등 다른 지역 경제가 급격히 둔화된 데 따른 것”이라며 “달러 강세가 오히려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한 달간 달러화 가치는 유로와 파운드에 대해 각각 8%가량 뛰었으며, 엔화에 대해서는 6% 가깝게 올랐다.
이 같은 달러 강세는 미국 기업의 수출제품 단가를 올리는 결과를 가져와 경쟁력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미국의 2분기 수출은 달러 약세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했다. 수출이 침체 국면에 빠진 미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톡톡히 한 셈이다. 최근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있긴 하지만 달러 가치는 2000년 10월에 비해 아직도 유로화 대비 44%가량 떨어진 상태다.
하루 거래 규모가 3조2000억 달러에 달하는 통화시장도 단기적으로 혼란을 겪을 전망이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장기적으로 ‘달러 약세-상품가격 강세’를 점치며 투자 비중을 결정해왔다. 하지만 달러가 강세로 돌아서 투자자들이 일제히 달러화 투자를 확대하면 변동성이 커져 시장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공격적으로 상품 투자에 주력해온 해지펀드가 수익 악화로 쓰러져 신용경색 현상을 심화시킬 가능성도 제기된다. 해지펀드리서치에 따르면 7월 해지펀드 평균 수익률은 마이너스 2.8%를 기록했다.

향후 미국 경제 전망,
주택시장 향방 따라 결정

달러화 강세 파급 효과의 가장 중요한 변수는 미국 주택시장의 향방이다. 현재로서는 더 악화하지 않으리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는 모기지 사태가 더 커지지 않으리라는 것을 의미한다. 달러화 강세는 미국 정부가 금융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이는 경제 안정과 경기 회복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
경기가 호전되면 기업들은 더 많이 투자하고 고용도 늘린다. 결국 주가가 반등하고 경제가 정상화할 수 있는 계기로 이어지게 마련이다. 유럽ㆍ일본의 경우 경기 침체와 불황이 우려된다. 유로화 등의 가치 하락으로 물가가 급등해 소비가 침체되고 국내총생산(GDP) 성장세는 크게 둔화한다.
GDP 성장이 둔화할 경우 물가 상승분만큼 국민의 소득도 늘어나야 하지만 실제로는 그럴 가능성이 적다. 인플레이션 우려 때문이다. 따라서 상류층을 제외한 대다수 계층은 대출을 늘리고 물가급등에 따라 시중 금리는 올라가게 마련이다. 그밖에 해외 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국제 유가와 상품가의 하락 압력이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달러가 약세에서 강세로 전환할 경우 유가와 상품ㆍ곡물 가격은 하락한다. 달러를 기준으로 거래되는 국제 유가는 강한 하락 압력을 받게 된다. 게다가 곡물 가격을 포함한 국제 상품가격도 점차 하락할 듯하다. 국제 상품시장은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을 회피하기 위한 헤지 기능의 투자가 주류를 이룬다.
따라서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 상품시장의 수급도 모멘텀을 잃고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곡물 가격은 유가의 변동이 다소 느리게 반영돼 완만한 하락세로 접어들 것이다. 전문가들은 유가 하락세를 점치는 가운데 내년 초 배럴당 100달러 아래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유가는 지금처럼 달러 강세가 유지되는 한 120달러대를 강력한 저항선으로 삼고 이를 넘어서는 것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편 미국 실리콘밸리 지역 실업률이 4년 만에 처음으로 상승했다.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새너제이와 샌타클래라 등 실리콘밸리 지역 실업률이 지난 달 6.4%를 기록해 전달의 6.1% 보다 0.3%포인트 높아졌다고 밝혔다. 이는 4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부동산 경기 침체 여파가 실리콘밸리 지역에까지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실리콘밸리의 첨단기술 분야는 고용이 완만한 증가세를 계속 보이고 있는 반면 건설과 금융 등 부문에서 고용이 크게 줄어 전체적으로 실업률이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실리콘밸리의 경제적 기반은 건전한데 경기 순환의 영향을 받는 주택 건설 부문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으며, 이로 인해 미국 경제뿐만 아니라 전 세계 경제가 불안에 떨고 있음을 지적했다.

sundayjournal특별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