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실의 민간인 사찰 파문에 이어 정권 실세들이 금융권 인사에도 개입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이명박 대통령 대선 외곽조직인 선진국민연대(선진연대) 관련 인사들이 케이비(KB)금융지주의 회장 선임에 조직적으로 관여했다는 것이다. 이 의혹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케이비금융 회장에 내정된 어윤대 국가브랜드위원장이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제기되고 있는 의혹 중 가장 문제되는 것은 선진연대 쪽 인사가 케이비 회장에 유력한 한 인사를 만나 사실상 사퇴를 종용했다는 부분이다. 이는 특정 인사를 케이비 회장에 앉히기 위해 비선의 실세가 공공연히 인사에 개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사자는 부인하지만 케이비 회장에 공모했던 이 인사는 그런 말을 직접 들었다고 한다. 케이비 회장 선임 과정 자체의 정당성과 관련된 만큼 사실 여부가 명확히 밝혀져야 할 사안이다.
선진연대 쪽 인사가 어떻게 케이비금융 사외이사에 선임됐는지도 규명해야 할 대목이다. 절차상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금융분야에 특별한 전문성도 없는 사람이 국내 최대 금융그룹인 케이비금융 사외이사가 된다는 건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이 인사는 어윤대씨를 케이비 회장으로 선임하는 데 많은 구실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인사의 사외이사 선임에 누가 관여했는지도 밝혀야 한다.
정권 실세들의 인사 개입을 금융감독당국이 사실상 묵인하고 동조한 것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황영기 전 케이비 회장과 강정원 회장 후보를 차례로 물러나게 하고 대통령 측근인 어윤대씨를 회장으로 선임한 과정에서 감독당국이 결과적으로 적잖은 몫을 했다. 케이비 회장 선임과 관련된 감독당국의 고위직들은 어씨를 케이비 회장으로 추대한 케이비 사외이사들과 같은 대구·경북(TK) 출신들이다. 이번 어씨 선임이 티케이와 고대 연합세력의 승리라는 말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권 실세나 감독당국이 금융권 인사에 개입하는 관행이 없어지지 않는 한 금융선진화는 요원하다. 정권 실세들은 금융권 노른자위 다툼을 하느라 정신이 없는데 정책당국이 금융선진화를 외친다고 누가 믿겠는가. 이명박 대통령이 진정으로 금융산업 선진화를 바란다면 케이비 회장 선임 의혹부터 철저히 규명하도록 직접 나서야 한다. 지금은 금융감독 당국도 믿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닌 것 같다.
한겨래<사설>
|
'openjournal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의 절친으로 ‘왕의 남자’로 통하는 천신일 세중나모여행사 회장이 연루된 또 다른 ‘권력형 의혹’ (0) | 2010.07.13 |
---|---|
강원도민의 함성...우리 불쌍한 강원도 좀 구해주세요! (0) | 2010.07.09 |
조선일보 사장 방응모씨 일제에 중기관총 헌납기록 발견 (0) | 2010.05.31 |
'성형수술 부작용' 국내외 만연..혹 떼려다 큰 혹 달게 된 성형 후유증 (0) | 2010.05.25 |
장은영-전 동아 회장 최원석 이혼 속사정? (0) | 2010.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