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리는 처음부터 우리가 널리 알고 있는 별자리로 정해져 있었던 것은 아니다. 각 나라나 지역마다 다르게 사용되고 있었던 것이 하나로 통합하면서 오늘날 별자리가 생긴 것이다.
오늘날 별자리의 기원은 서구 별자리로, 기원전 수천년경 바빌로니아 지역에 살던 셈족계 유목민인 칼데아인들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들은 가축을 키우고, 푸른 초목을 따라 이동하는 생활을 하면서, 밤하늘을 쳐다보게 되고, 밝은 별들을 연결시켜 동물에 비유하면서부터 별자리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B.C. 3000년경에 만든 이 지역의 표석에는 양·황소·쌍둥이·게·사자·처녀·천칭·전갈·궁수·염소·물병·물고기자리등 태양과 행성이 지나는 길목인 황도를 따라 배치된 12개의 별자리, 즉 황도 12궁을 포함한 20여 개의 별자리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고대 이집트에서도 B.C 2000년경에 지중해 무역을 하던 페니키아인들에 의해 바빌로니아· 이집트의 천문학이 그리스로 전해져서 별자리이름에 그리스신화 속의 신과 영웅, 동물들의 이름이 가미되었다. 세페우스· 카시오페이아 ·안드로메다· 페르세우스 ·큰곰· 작은곰 등의 별자리가 그러한 것들이다. 그후 AD 150년경 그리스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가 그리스천문학을 집대성한 <알마게스트>란 책에는 북반구 별자리를 중심으로한 48개의 별자리가 실려 있다. 그 분포를 보면 황도상에 있는 별자리가 12개, 황도 북쪽에 있는 별자리가 21개, 황도 남쪽에 있는 별자리가 15개등으로, 이 별자리들은 15세기까지 유럽에 널리 알려졌다.
15세기 이후에는 원양항해의 발달에 따라 남반구의 별들도 다수가 관찰되어 새로운 별자리들이 첨가되기에 시작하였다. 대항해시대 이후 서양인들이 남반구에 진출하면서 항해사들은 남쪽 하늘의 새로운 별자리들 발견하여 기록했고, 1603년 독일의J. 바이어는 16C경 네덜란드 항해사 데오루스의 기록에 의거하여 그의 책 우라노페트리아에서 카멜레온, 극락조, 황새치등 12개의 별자리를 적어놓았다. 또 근대 천문학의 태동과 함께 망원경이 발달함에 따라 어두운 별들을 관측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밝은 별자리 사이를 메우기 위해 작은 별자리들을 신설하게 되었는데, 17C말에 헤벨리우스에 의해 만들어진 작은 여우, 작은사자, 방패등의 별자리와 루시에에의해 만들어진 비둘기 , 남십자등의 별자리가 그 예이다.
20세기초에 이르러, 별자리 이름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고, 그 경계도 달라서 자주 혼란이 생기고 불편한 일이 많이 발생하였다. 때마침 1922년 발족된 국제천문연맹에서 별자리의 계통 정리 제안이 거론되고, 1928년 총회에서 하늘 천체를 88개의 별자리로 나누어 황도를 따라서 12개, 북반구 하늘에 28개, 남반구 하늘에 48개로 모두 88개의 별자리로 확정하였다. 또 종래의 알려진 별자리의 중요 별이 바뀌지 않는 범위에서 천구상의 적경과 적위에 나란한 선으로 별자리의 경계를 정하였다. 또 라틴어 소유격으로 된 별자리의 학명을 정하고, 3문자로 된 별자리의 약부호를 정하였다. 이것이 현재 쓰이고 있는 별자리이다.
이 88개의 별자리 중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는 북두 칠성등 67개이고, 일부만이 보이는 별자리가 남십자등 12개, 안전히 보인지 않는 별자리는 물뱀등 9개이다. 또 별자리는 아니나 별의자리의 일부로서 별자리와 구분되어 부르는 별의 집단을 성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렇게 변해온 별자리는 옛부터 여행자와 항해자의 길잡이가 되어왔고, 오늘날에는 천문학자들의 밤하늘의 지도로 이용되고 있다.
오늘날 별자리의 기원은 서구 별자리로, 기원전 수천년경 바빌로니아 지역에 살던 셈족계 유목민인 칼데아인들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들은 가축을 키우고, 푸른 초목을 따라 이동하는 생활을 하면서, 밤하늘을 쳐다보게 되고, 밝은 별들을 연결시켜 동물에 비유하면서부터 별자리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B.C. 3000년경에 만든 이 지역의 표석에는 양·황소·쌍둥이·게·사자·처녀·천칭·전갈·궁수·염소·물병·물고기자리등 태양과 행성이 지나는 길목인 황도를 따라 배치된 12개의 별자리, 즉 황도 12궁을 포함한 20여 개의 별자리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고대 이집트에서도 B.C 2000년경에 지중해 무역을 하던 페니키아인들에 의해 바빌로니아· 이집트의 천문학이 그리스로 전해져서 별자리이름에 그리스신화 속의 신과 영웅, 동물들의 이름이 가미되었다. 세페우스· 카시오페이아 ·안드로메다· 페르세우스 ·큰곰· 작은곰 등의 별자리가 그러한 것들이다. 그후 AD 150년경 그리스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가 그리스천문학을 집대성한 <알마게스트>란 책에는 북반구 별자리를 중심으로한 48개의 별자리가 실려 있다. 그 분포를 보면 황도상에 있는 별자리가 12개, 황도 북쪽에 있는 별자리가 21개, 황도 남쪽에 있는 별자리가 15개등으로, 이 별자리들은 15세기까지 유럽에 널리 알려졌다.
15세기 이후에는 원양항해의 발달에 따라 남반구의 별들도 다수가 관찰되어 새로운 별자리들이 첨가되기에 시작하였다. 대항해시대 이후 서양인들이 남반구에 진출하면서 항해사들은 남쪽 하늘의 새로운 별자리들 발견하여 기록했고, 1603년 독일의J. 바이어는 16C경 네덜란드 항해사 데오루스의 기록에 의거하여 그의 책 우라노페트리아에서 카멜레온, 극락조, 황새치등 12개의 별자리를 적어놓았다. 또 근대 천문학의 태동과 함께 망원경이 발달함에 따라 어두운 별들을 관측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밝은 별자리 사이를 메우기 위해 작은 별자리들을 신설하게 되었는데, 17C말에 헤벨리우스에 의해 만들어진 작은 여우, 작은사자, 방패등의 별자리와 루시에에의해 만들어진 비둘기 , 남십자등의 별자리가 그 예이다.
20세기초에 이르러, 별자리 이름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고, 그 경계도 달라서 자주 혼란이 생기고 불편한 일이 많이 발생하였다. 때마침 1922년 발족된 국제천문연맹에서 별자리의 계통 정리 제안이 거론되고, 1928년 총회에서 하늘 천체를 88개의 별자리로 나누어 황도를 따라서 12개, 북반구 하늘에 28개, 남반구 하늘에 48개로 모두 88개의 별자리로 확정하였다. 또 종래의 알려진 별자리의 중요 별이 바뀌지 않는 범위에서 천구상의 적경과 적위에 나란한 선으로 별자리의 경계를 정하였다. 또 라틴어 소유격으로 된 별자리의 학명을 정하고, 3문자로 된 별자리의 약부호를 정하였다. 이것이 현재 쓰이고 있는 별자리이다.
이 88개의 별자리 중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는 북두 칠성등 67개이고, 일부만이 보이는 별자리가 남십자등 12개, 안전히 보인지 않는 별자리는 물뱀등 9개이다. 또 별자리는 아니나 별의자리의 일부로서 별자리와 구분되어 부르는 별의 집단을 성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렇게 변해온 별자리는 옛부터 여행자와 항해자의 길잡이가 되어왔고, 오늘날에는 천문학자들의 밤하늘의 지도로 이용되고 있다.
'openjournal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자리 - 별자리별들 (0) | 2007.08.26 |
---|---|
별자리 - 별자리의 전설 (0) | 2007.08.26 |
별자리 - 별자리상식 (0) | 2007.08.26 |
별자리 - 북반구별자리 (0) | 2007.08.26 |
천체 (0) | 2007.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