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백제왕 계승도

이경희330 2008. 9. 11. 13:51


 

 

 

 

 

1대 온조왕    
  2대 다루왕  
  3대 기루왕 6대 구수왕      
  4대 계루왕 7대 사반왕      
  5대 초고왕 8대 고이왕      
    9대 책계왕      
    10대 분서왕 11대 비류왕 12대 계류왕 13대 근초고왕
          14대 근구수왕
      17대 아신왕 16대 진사왕 15대 침류왕
      18대 전지왕    
      19대 구이왕    
      20대 비유왕    
      21대 개로왕    
      22대 문주왕    
      23대 삼근왕 24대 동성왕  
        25대 무녕왕  
        26대 성 왕  
      28대 혜왕 27대 위덕왕  
      29대 법왕    
      30대 무왕    
      31대 의자왕

 

 

 

 

1대

 

 

 

 

 

온조왕

(BC18~AD29)

 

 

 

 

 

 

고구려 동명왕의 셋째아들.

위례성에 나라를 정하고 나라이름을 백제라함.

BC 5년에 서울을 한산으로 옮김.

AD8년 마한을 병합함.

 

 

 

 

2대

 

 

 

다루왕(28~77)

 

 

 

 

온조왕의 아들.

말갈족을 격퇴하고, 농사를 장려하여 백성 생활을 안정 시켰음.

37년 후한의 낙랑군을 멸망시킴

 

3대

 

 

기루왕(77~128)

 

 

 

다루왕의 맏아들.

'삼국사기'의 기루왕 치세에 대한 내용에는 천문이변, 지진, 큰 가뭄, 태풍, 기상이변 등에 대한 간략한 기록이 대부분이다

 

4대

 

 

개루왕(128~166)

 

 

 

기루왕의 아들.

132년에 북한산성을 쌓음

 

5대

 

 

초고왕(166~214)

 

 

 

개루왕의 맏아들로 소고왕이라고도 불렸다.

신라를 여러번 침공하고, 210년에 적현성, 사도성을 축조함.

 

6대

 

 

구수왕(214~234)

 

 

초고왕의 맏아들. 132년에 북한산성을 쌓음

 

7대

 

 

사반왕(234)

 

 

구수왕의 아들. 나이가 어려 바로 폐위됨

 

8대

 

 

고이왕(234~286)

 

 

 

초고왕의 동생.

관제를 제정하고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여 국가의 기초를 확립함

 

9대

 

 

책계왕(286~298)

 

 

고이왕의 아들

 

10대

 

 

분서왕(298~304)

 

 

 

책계왕의 아들

낙랑군의 서현을 점령하여 영토를 확장하였으나 낙랑군의 자객에게 살해당함

 

11대

 

 

비류왕(304~346)

 

 

 

구수왕의 둘째 아들.

민간의 형편을 잘 알아 선정을 베품

 

12대

 

 

 

설왕(344~346)

 

 

 

분서왕의 맏아들

 

 

13대

 

 

근초고왕(346~375)

 

 

 

 

 

비류왕의 아들

369년에 마한과 대방을 병합함

고구려 평양성을 점령하고 고국원왕을 전사 시킴

아직기, 왕인을 일본에 보내어 한문을 전파하고 박사 고흥에게 백제의 국사 '서기'를 쓰게함

 

14대

 

 

근수구왕(375~384)

 

 

 

근초고왕의 맏아들

일본과 국교를 맺어 문물을 보급시키는데 공이 많음

 

 

15대

 

 

 

 

침류왕(384~385)

 

 

 

 

 

근구수왕이 아들

불법을 시행하고 한산에 절을 창건함

 

 

16대

 

 

 

진사왕(385~392)

 

 

 

 

침류왕의 동생

광개토대왕에게 한강 이북을 빼앗기자 이를 찾기위해 출정하다가 병사함

 

 

17대

 

 

 

아신왕(392~405)

 

 

 

 

 

침류왕의 아들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모두 패함.

일본과 화친하여 태자를 볼모로 보냄

 

 

18대

 

 

 

전지왕(405~420)

 

 

 

아신왕의 아들

 

 

 

19대

 

 

 

 

구이신왕(420~427)

 

 

 

 

전지왕의 맏아들

 

 

 

20대

 

 

 

 

비유왕(427∼454)

 

 

 

 

 

구이신왕의 아들

송나라와 왕래하고 신라와 화친함

 

 

 

21대

 

 

 

 

개로왕(455~475)

 

 

 

 

 

비유왕의 맏아들

고구려 장수왕의 습격을 받아 피살됨

 

 

 

22대

 

 

 

 

문주왕(475~477)

 

 

 

 

 

개로왕의 아들

서울을 웅진(공주)으로 옮기고 국방에 힘씀

 

 

 

23대

 

 

 

 

삼근왕(477~479)

 

 

 

 

문주왕의 맏아들

 

 

 

24대

 

 

 

 

동성왕(479~501)

 

 

 

 

 

삼근왕의 동생

신라와 혼인동맹을 맺고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와 싸움

 

 

 

25대

 

 

 

 

무령왕(501~523)

 

 

 

 

 

동성왕의 둘째아들

민생을 안정시키고 국력을 신장하여 국제적 지위를 강화함

 

 

 

26대

 

 

 

 

성왕(523~554)

 

 

 

 

 

무령왕의 아들

도읍지를 웅진(공주)에서 사비(부여)로 옮기고 국호를 남부여라고 함

 

 

 

27대

 

 

 

 

위덕왕(554~598)

 

 

 

 

 

성왕의 아들

고구려의 침공을 막고 중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함

 

 

 

28대

 

 

 

 

혜왕(598~599)

 

 

 

 

위덕왕의 아들

 

 

 

29대

 

 

 

 

법왕(599~600)

 

 

 

 

 

혜공왕의 아들

불교를 숭상하고 살생을 금함

 

 

 

30대

 

 

 

 

무왕(600~641)

 

 

 

 

수나라, 당나라와 화친하고 일본에 서적과 불교를 전파함

 

 

 

31대

 

 

 

 

 

의자왕(641~660)

 

 

 

 

 

 

무왕의 맏아들. 백제의 마지막 임금

642년에 신라를 공격하여 많은 영토을 얻었으나 사치와 방탕으로 나당연합군에게 패하여 당나라에 압송되어 병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