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씨와 변양균 전 청와대 정책실장 및 검찰 3자 간의 이해관계도 맞아떨어진다. 신씨와 변 전 실장은 물론 검찰 모두 '속전속결'을 바라고 있기 때문이다. 범여권도 이 문제가 빨리 종결되기를 원하고 있다. 10월 2~ 4일의 남북 정상회담과 10월 15일의 대통합민주신당 대선 후보 선출 전당대회가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신당 측에선 "변양균-신정아 게이트가 경선 흥행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는 볼멘소리가 진작부터 나왔다. 신씨는 7월 16일 미국 뉴욕으로 도피한 뒤 숨어 지내왔다. 당분간 귀국할 의사가 없는 듯이 보였다. 9월 9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서울에 안 들어가면 그만이다. (검찰이) 나를 못 잡아 간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튿날(10일) 변 전 실장은 신씨와의 '부적절한 관계'가 드러나 사표가 수리됐다. 이때부터 신씨의 태도에 변화가 감지되기 시작했다. 신씨는 13일 '시사IN'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피해 다니는 내가 용서가 안 된다"며 귀국 의사를 내비쳤다. 그는 "기자들이 내가 귀국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함부로 기사를 쓰고 있다. 서울에 가면 반드시 문제 삼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신씨가 조기 귀국을 결심한 것은 강력한 후견인이었던 변 전 실장의 입장을 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변 전 실장이 신씨를 비호한 혐의로 사법처리 위기에 처한 마당에 마냥 피해 다닌다고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고 본 것이다. 신씨의 변호인은 일본에서 신씨를 만나 "귀국을 안 하고 무작정 버틸 경우 검찰 수사에서 또 다른 혐의가 포착되고 더 큰 불이익이나 처벌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한다. 검찰은 신씨가 미술 전시회와 금융기관의 미술품 투자를 주도하면서 후원금과 비용을 횡령한 혐의에 대해서도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자칫 잘못하면 신씨로서는 호미(학위 위조)로 막을 일을 가래(학위 위조+α)로 감당해야 할 사태가 생길 수 있다는 얘기다. 신씨는 거의 모든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검찰 조사에서도 검찰이 결정적인 증거를 들이밀기 전에는 '모르쇠'로 버틸 것으로 보인다. 수사가 빨리 끝나면 혐의도 가짜 학위로 동국대 교수와 광주비엔날레 감독에 선임됐고, 이 과정에서 변 전 실장의 비호를 받았다는 정도로 마무리될 수 있다는 게 신씨 측의 계산이다. 변 전 실장 역시 신씨가 귀국하지 않아 의혹이 계속 부풀려지는 상황을 방치할 수 없는 입장이다. 검찰에서 빨리 조사를 마치고 구속되든, 불구속 기소되든 이 사태를 조기에 마무리하는 게 유리하다. 추석 이후까지 사건이 확대될 경우 변 전 실장과 신씨를 둘러싼 의혹은 증폭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변 전 실장이 신씨의 조기 귀국을 종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변 전 실장이 모종의 경로를 통해 신씨의 귀국 약속을 받아낸 뒤 신씨의 변호사를 보내 귀국 날짜를 조정했다는 것이다. 변 전 실장은 부산고 21회 동기인 김영진(58) 변호사를 선임했다. 신씨는 박종록(55) 변호사를 선임했다. 김. 박 두 변호사는 서울 서초동 같은 건물의 바로 옆 사무실을 나란히 쓰고 있다. 변 전 실장과 신씨가 수사 과정에서 손쉽게 정보 교환을 하기 위해 사실상 '공동 변호인'을 선임한 게 아니냐는 의심을 받는 이유다. 실제로 변 전 실장은 사표가 수리되고 사흘이 지난 13일 서울 서초동의 김 변호사 사무실을 찾았다. 그러자 박 변호사는 약속이나 한 듯 14일 돌연 일본으로 출국했다. 당일 뉴욕에서 도쿄로 온 신씨를 만나 검찰 출두 시기 및 수사 대응 전략 등 구체적인 대책을 논의했다고 한다. |
'openjournal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양균씨와 나는 예술적 동지” 신정아씨 변호사 기내인터뷰 (0) | 2007.09.17 |
---|---|
"신씨, 예일대 다녔다는 주장 안 굽혀" (0) | 2007.09.17 |
"신정아는 심리적 모라토리엄 상태" (0) | 2007.09.15 |
한국 이민자들은 소수민족들에게 증오 범죄의 표적‘제2의 4.29폭동 부른다 (0) | 2007.09.15 |
<문화일보>에, 이명박에…여성단체 "바쁘다. 바빠" (0) | 2007.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