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학년도 서울대 합격생 가운데 31.5%가 강남 소재 고등학교 및 외국어고 등 특수목적고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 소속 민주노동당 최순영 의원은 4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서울대가 제출한 지난 2000~2007년 합격생 현황자료에 따르면 올해 합격생 중 강남과 서초.송파구 소재 고교 및 자립형 사립고를 포함한 특목고 출신 합격생이 전체의 31.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최 의원에 따르면, 이는 2000년도 강남 및 특목고 출신 합격생 비율 21.7%에 비하면 10%포인트가량 상승한 수치다.
2007학년도 강남소재 고교 출신 서울대 합격생의 비율은 10.7%. 단과대별로는 경영대(23.1%), 법대(19.4%), 음대(17.9%) 등 순으로 높은 합격비율을 보였다.
특목고 출신 합격생 비율도 2000학년 12% 수준에서 꾸준히 증가해 2007학년에는 20%에 이르렀다. 이는 일반계 고등학교 출신 합격생 비율이 2000학년 81.9%에서 2007학년 77.1%로 하락한 것과 대비된다.
또한 2007학년도 전체 고교 졸업생중 특목고 출신 학생들이 차지하는 인구비율에 비하여 서울대 합격생중 특목고학생들의 합격비율은 4.7배(2005년 3.9배)로 계속 상승해왔다.
최 의원은 "이렇게 특목고 학생들의 합격비율이 높아진 원인은 2005학년도부터 도입된 특별전형과 정시전형에서의 학생부 실질 반영률의 축소 때문"이라며 "2005년부터 도입된 서울대 특별전형에서 특목고출신 학생들의 합격생 비율은 전체 특별전형총원 대비 05년 47.2%, 06년 43.8%, 07년 49.7%으로 졸업생 인구대비 9.5~11배의 합격생 비율을 보였다. 결국 특별전형은 특목고 우대전형이라는 사실이 수치로 밝혀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서울대 정시전형에서 학생부 실질 반영비율(인문계기준)을 2003학년도 37.31%에서 2004학년도 25.67%, 2005학년도 이후 6.37%로 대폭 축소하고, 수능 반영비율을 2003학년도 48.97%에서 2004학년도 33.3%, 2005년 이후 89.16%로 대폭 확대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그는 "학벌주의의 최정점에 서있는 서울대가 특목고 위주의 입시 전형안을 시행함으로써 2008년 대학입학전형을 무력화 시켜왔다"며 "서울대가 진정 교육과 연구를 위한 대학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서울대 졸업장을 폐지하고 위탁교육, 기초학문 연구를 중심기능으로 하는 고등교육지원센터로 전환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